서울시 청년수당이란?
서울시 청년수당은 취업 준비 중인 청년들의 경제적 어려움을 완화하고, 자립 기반을 마련하도록 돕는 지원 사업이에요. 서울시는 2015년 이 정책을 처음 도입한 이래, 매년 조건과 내용을 개선하며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특히 취업과 자립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이 강화되면서 단순한 현금 지원을 넘어선 성장의 발판으로 자리 잡았어요. 이 제도의 핵심은 월 50만 원씩 최대 6개월 지원이라는 점입니다. 총 300만 원이라는 금액은 청년들이 구직 활동, 자기계발, 생활비 충당 등에 활용할 수 있는 든든한 자금이죠. 여기에 더해 전문가 상담, 취업 지원 프로그램 등 비금전적 혜택도 제공돼 실질적인 경제적, 사회적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025 서울시 청년수당 달라진 점
진로 설정 단계별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
청년들의 진로설정 단계를 '자기이해 > 진로탐색 > 직무 구체화 > 구직 취업' 4단계 세분화해 자신의 진로단계에 맞는 프로그램에 참여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치구별 청년센터에서 청년 정책 종합상담 및 교육을 진행 합니다. 사회적 관계 형성하고 싶은 청년들을 위해 교류 및 네트워크 형성을 돕는 커뮤니티 프로그램 진행.
6개월 장기 멘토링 프로그램 도입
기업 현직자들이 청년수단 참여자들에게 취업노하우를 전수하는 장기 멘토링 프로그램입니다. 6개월간 장기적으로 멘토와 소통하며 직무탐색을 지속할 수 있도록 운영할 계획 입니다. 멘토당 5~7명의 멘티들과 연결되어 직무소개, 취업 조언등을 제공합니다.
청년수당 사용에 대한 심층 모니터링
매월 조사를 실시하여 사업 목적에 맞게 수당을 사용하는지 확인하게 됩니다. 부적절한 현금 사용이 확인될 경우 지급이 중단 되거나 이미 지급된 청년수당을 환수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현슴 사용 가능 항목에 현금 사용 시 증빙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청년수당은 클린카드 기능이 있는 체크카드를 통해 사용해야 합니다. 다만, 전월세 등 주거비, 생활, 공과금, 교육비 등 반드시 필요 항목에 한해 현금 사용이 예외적으로 허용됩니다.
2025 서울시 청년수당 신청조건
대상: 만 19~34세(1990년 3월 1일~2006년 3월 31일 출생), 군필자는 만 37세까지 가능.
거주: 신청일 기준 서울시 주민등록자.
학력: 고교·대학(원) 졸업자(중퇴·수료 포함), 재학생·휴학생 제외.
취업 상태: 미취업자(고용보험 미가입) 또는 주 30시간 이하·3개월 이하 단기 근로자.
소득: 가구 중위소득 150% 이하(2025년 2월 건강보험료 기준 약 30만 원 내외).
신청 기간: 2025년 3월 6일(목) 10:00 ~ 3월 13일(목) 16:00.
신청 방법: 청년몽땅정보통(youth.seoul.go.kr)에서 온라인 접수.
가구 중위소득 150% 이하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보건복지부의 공식 발표(2024년 7월 25일, 제73차 중앙생활보장위원회 결정)에 따라 가구원 수별로 아래와 같이 확정되었어요.
1인 가구 | 3,588,019원 |
2인 가구 | 5,955,736원 |
3인 가구 | 7,585,207원 |
4인 가구 | 9,146,659원 |
5인 가구 | 10,583,707원 |
6인 가구 | 11,982,642원 |
'경제 > 경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자와 보통 사람의 5가지 차이 : 2024 대한민국 웰스 리포트 (1) | 2025.03.30 |
---|---|
한국은행 디지털화폐 개혁 ‘프로젝트 한강’ (0) | 2025.03.26 |
앱 테크로 돈 버는 법을 알려 드립니다. (2) | 2025.03.23 |
십대 자녀를 위한 주식계좌 개설 (0) | 2025.03.15 |
서울 모범납세자 혜택 총정리 (0) | 202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