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거주하는 청년이라면 주거비 부담을 덜어줄 좋은 기회가 찾아왔습니다. 서울시는 이사가 잦은 청년들의 경제적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2025 서울청년 부동산 중개보수 이사비 지원’ 사업을 진행합니다. 이 정책은 부동산 중개보수와 이사비를 최대 40만 원까지 지원하며, 특히 전세사기 피해자나 무주택 청년들에게 큰 힘이 될 전망입니다. 지원 대상, 신청 자격, 구체적인 지원 내용, 그리고 신청 방법과 기간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사를 앞두고 있거나 최근 이사한 청년이라면, 이 혜택을 놓치지 않도록 주목해 주세요. 필요한 정보를 꼼꼼히 정리했으니 끝까지 읽어보시면 분명 도움이 될 것입니다.
지원 대상
이 지원 사업은 서울에 거주하는 청년들을 위해 마련된 정책입니다. 구체적으로, 2023년 1월 1일 이후 서울시로 전입했거나 서울시 내에서 이사한 만 19세에서 39세 사이의 무주택 청년이 대상입니다. 나이를 계산해 보면, 1986년 1월 1일부터 2006년 12월 31일 사이에 태어난 분들이 해당됩니다. 예를 들어, 1995년생이라면 2025년 기준 만 30세로 지원 대상에 포함됩니다.
-청년 1인 가구
-주민등록상 함께 거주하는 부모나 배우자가 있는 경우도 가능
우선 지원 대상자
또한, 주거 환경이 열악하거나 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청년을 우선 고려하니, 본인이 해당되는지 확인해 보시는 게 좋습니다. 특히 전세사기 피해자, 가족 돌봄 청년, 청소년 부모 등 사회적 약자에 해당하는 경우 우선 지원 대상으로 선정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전세 사기 피해 청년
-가족 돌봄 청년
-청소년 부모
-자립준비청년
-장애인, 한부모 가족, 북한이탈주민, 다문화 가정, 국가보훈대상자
-주거 취약청년 (반지하, 옥탑방, 고시원 거주 청년)
신청 자격
지원금을 받으려면 몇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먼저, 신청자가 무주택자여야 하며, 거래금액 2억 원 이하의 전·월세 주택에 거주하고 있어야 합니다. 여기서 거래금액은 임차보증금에 월세를 환산한 금액(월세액 × 100)을 더한 값으로 계산합니다. 단, 거래금액이 5천만 원 미만이라면 월세 환산 비율이 70으로 조정됩니다.
예를 들어, 보증금 3천만 원에 월세 20만 원인 경우, 거래금액은 3천만 원 + (20만 원 × 70) = 4,400만 원으로 계산됩니다. 또한, 가구당 중위소득 150% 이하라는 소득 기준도 중요합니다. 2025년 3월 건강보험료 고지 금액을 기준으로 판단하며, 1인 가구의 경우 약 358만 9천 원(세전 기준) 이하에 해당해야 합니다. 만약 건강보험에서 부모님의 피부양자로 등록되어 있다면, 부모님 가구의 소득으로 계산되니 이 점도 유의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부모 소유 주택에 임차 중이거나 다른 기관에서 비슷한 지원을 받은 경우는 제외됩니다. 자격 요건이 까다롭지 않으니, 본인의 상황을 점검해 보세요.
-만 19세 ~ 39세 청년가구 (1985년 1월 1일 ~ 2006년 12월 31일 출생)
-2023년 1월 1일 이후 서울시로 전입 했거나, 서울시 내에서 이사 후 전입신고를 완료한 경우
-금액이 2억 원 이하인 전월세로 거주 중인 청년
-가구 소득이 중위 소득 150%이하 (1인 가구 기준 세전 3,589,000원)
-이사비 지원은 생애 1회만 지원 가능
지원 내용
이 사업의 가장 큰 매력은 최대 40만 원까지 실비를 지원한다는 점입니다. 지원 항목은 부동산 중개보수와 이사비로 나뉘며, 둘 중 하나만 신청하거나 모두 신청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개보수로 25만 원을 지출하고 이사비로 20만 원을 썼다면, 총 40만 원 한도 내에서 전액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단, 실제 지출한 금액을 초과해서 받을 수는 없으니 영수증을 잘 챙겨두셔야 합니다. 이 혜택은 생애 단 한 번만 받을 수 있으니, 이사 시기를 잘 맞춰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울시는 지난해까지 1만 7,974명에게 평균 30만 원을 지원한 실적이 있으니, 신뢰할 만한 정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실제 이사에 소요된 부동산 중개보수, 이사비 최대 40만 원 한도 내 실비 비원
-중개보수 : 임대차계약 체결 시 소요되는 중개 수수료
-이사비 : 개인 용달, (반)포방 이사, 사다리차 이용비 등
신청 기간 및 방법
2025년 신청은 상반기와 하반기로 나뉘어 진행됩니다. 상반기 신청 기간은 2025년 4월 1일 오전 10시부터 4월 14일 오후 6시까지입니다. 하반기 모집은 8월에 예정되어 있으며, 정확한 날짜는 추후 공지될 예정입니다. 상반기에는 6,000명, 하반기에는 4,000명을 선정할 계획이니 총 1만 명이 혜택을 받게 됩니다. 신청은 ‘청년몽땅정보통’(youth.seoul.go.kr) 웹사이트에서 온라인으로만 가능합니다. 신청 시 필요한 서류는 주민등록등본, 임대차계약서 사본,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출 증빙(영수증, 계좌이체 내역 등), 본인 명의 통장 사본입니다. 서류는 발급일로부터 1개월 이내여야 하며, 주민등록번호 뒷자리는 가린 상태로 제출해야 합니다. 심사 후 6월 중 적격자가 발표되고, 이의신청 기간을 거쳐 7월까지 지원금이 지급됩니다. 빠르게 준비하셔서 마감일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신청 기간 : 2025년 4월 1일 화 오전 10시 ~ 4시 14일 월 오후 6시 까지
신청 방법 : 청년몽땅정보통 온라인 신청
제출 서류 : 주민등록본, 임대차계약서, 중개보수 및 이사비 영수증 (실비지원이기 때문에 필수 제출)
‘2025 서울청년 부동산 중개보수 이사비 지원’은 청년들의 주거 안정과 경제적 자립을 돕는 실질적인 정책입니다. 이사를 계획 중이거나 최근 이사로 인해 비용이 부담된 분들에게는 더없이 좋은 기회입니다. 자격 요건에 해당한다면, 주저하지 말고 신청해 보세요. 최대 40만 원이라는 금액은 작지 않으며, 이사 과정에서 큰 부담을 덜어줄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 정책이 청년들의 삶에 작은 희망이 되기를 바랍니다. 서울시는 매년 지원 규모를 늘리며 청년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있으니, 앞으로도 이런 혜택이 지속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지금 바로 본인의 자격을 확인하고, 신청 마감 전에 꼭 도전해 보시길 권합니다.
'부동산 > 부동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류지 29채 메이플자이 입찰 토허제 대상 아니라고? (0) | 2025.04.06 |
---|---|
수도권 저렴한 전세는 4월 7일 까지 허그 든든전세주택 신청 (0) | 2025.04.03 |
한남더힐 4층 이하면 토허제 대상 아냐? (0) | 2025.04.01 |
부동산 초보자를 위한 필수 용어 정리 (0) | 2025.03.27 |
2025년 마곡 입주 예정 대기업 목록과 지역 가치 상승 (0) | 2025.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