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부동산 정보

부동산 중개수수료의 모든 것 (매매,전세,계산기)

by 부동경비원 2025. 3. 6.

부동산 중개수수료란

부동산 중개수수료, 흔히 '복비'라고도 부르죠. 이건 부동산 거래(매매, 전세, 월세 등)에서 공인중개사가 중개 서비스를 제공한 대가로 받는 수수료예요. 집을 사거나 팔 때, 혹은 전세나 월세로 계약할 때 중개사를 통해 거래가 이루어지면 양쪽 당사자(중개의뢰인)가 중개사에게 일정 금액을 지불하는 구조죠. 이 비용은 법적으로 정해진 상한선 안에서 협의로 결정되는데, 거래 금액과 지역 조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쉽게 말해, 중개수수료는 중개사가 계약서를 작성하고, 권리 관계를 확인하며, 거래를 성사시키기 위해 들인 노력에 대한 보상인 셈이에요. 하지만 금액이 만만치 않을 수 있어서 부동산 거래 전에 미리 알아두는 게 중요합니다!


매매 중개수수료 계산법

먼저, 집을 사고팔 때(매매) 중개수수료부터 살펴볼게요. 매매 시 중개수수료는 거래 금액에 따라 요율이 달라지고, 상한선이 정해져 있어요. 2021년 10월 19일 개정된 「공인중개사법 시행규칙」에 따르면, 주택 매매의 경우 거래 금액 구간별로 상한 요율이 아래와 같이 적용됩니다.

 

거래금액 구간 상한요율 최대 수수료(원)
5천만 원 미만 0.6%  250,000
5천만 원 ~ 2억 원 미만 0.5%  800,000
2억 원 ~ 6억 원 미만 0.4% 협의 가능
6억 원 ~ 9억 원 미만 0.5% 협의 가능
9억 원 이상 0.9%  협의 가능

 

예) 5억 원 짜리 아파트 매매시, 상한 요율은 0.4% 계산하면 

5억 원 X 0.004 = 200만 원

 

예) 10억 원 짜리 아파트 매매시, 상한 요율은 0.5% 계산하면

10억 원 X 0.005 = 500만 원


전세 중개수수료 계산법

전세 계약 시 중개수수료는 매매와 비슷한 구조지만, 거래 금액이 전세 보증금을 기준으로 계산돼요. 요율은 주택 기준으로 아래와 같습니다:

거래금액 구간 상한요율 최대 수수료 (원)
5천만 원 미만 0.5% 200,000
5천만 원 ~ 1억 원 미만 0.4% 300,000
1억 원 ~ 6억 원 미만 0.3% 협의 가능
6억 원 ~ 12억 원 미만 0.4% 협의 가능
12억 원 ~ 15억 원 미만 0.5% 협의 가능
15억 원 이상 0.6% 협의 가능

 

예) 전세 보증금이 3억 원 이라면 : 3억 원 X 0.003 = 90만 원

예) 전세 보증근이 8억 원 이라면 : 8억 원 X 0.004 = 320만 원


최대 수수료

중개수수료의 '최대 금액'은 법적으로 정해진 상한 요율과 한도액에 따라 결정돼요. 앞서 말씀드린 대로, 거래 금액에 상한 요율을 곱한 값이 한도액을 넘으면 안 됩니다.

 

예를 들어

매매 1억 원: 0.5% 적용 → 50만 원 (한도액 80만 원이니 50만 원이 최대)

전세 8천만 원: 0.4% 적용 → 32만 원 (한도액 30만 원 초과 시 30만 원이 최대)

 

9억 원 이상 고가 거래는 요율이 0.9% 이내에서 자유롭게 협의되지만, 이 경우도 중개사와의 협상 중요해요. 


부동산 중개보수 계산기 

네이버 부동산 계산기

이미지 누르면 사이트 바로가기

부동산계산기 EZB

이미지 누르면 사이트 바로가기